배당
배당이란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즉 주주들에게 기업이 이윤을 분배하는 것을 뜻한다. 배당은 시점에 따라 중간배당, 결산배당으로 나뉘어지는데, 말 그대로 결산일을 기준으로 배당을 하는 것을 결산배당, 결산배당 중간에 배당을 하는 것을 중간배당이라 한다. 중간배당은 또 분기배당, 반기배당 등으로 나누어 진다.
저금리 기조에서 빛을 발하는 배당주
성공적인 배당주 투자를 위해서는
① 배당수익률 ② 안정적인 배당 ③ 투자 시기를 확인!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낮추고 있다. 한국은행도 3월16일 기준금리를 50bp 인하(1.25%→0.75%)하는 빅컷을 단행했고, 5월28일 열린 금통위에서 한 차례 더(25bp) 인하(0.75%→0.5%)하였다.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금리는 곤두박질 쳤고, 0%대 예금금리도 등장했다.
안정적인 이자소득을 보장해주는 예금금리가 0%대로 떨어지면서, 사람들은 이제 본격적인 리스크 투자를 시작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리고 저금리로 어쩔 수 없이 주식투자를 시작한 위험회피자(risk-averser)들에겐 배당주는 꽤나 매력적인 투자처로 다가온다.
배당주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지만 성장성이 조금 떨어지는 캐시카우 기업에 해당(삼성전자같은 먼치킨은 예외)한다. 성장성 측면에서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가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의 기대가 낮고, 따라서 현금 지급을 통해 주식의 매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물론, 안정적인 배당을 위해서는 기업이 꾸준히 어느 정도의 현금흐름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에 캐시카우가 되어야 배당주가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일종의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투자 지표와 투자 시기
그렇다면, 성공적인 배당주 투자를 위해서 투자자는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 가장 첫 번째로 확인해보아야 할 것은 배당수익률이다. 배당수익률이란 배당금을 투자금으로 나눈 비율로, 간단히 말해 천만 원어치 주식을 사서 백만 원의 배당을 받았다면 배당수익률은 10%가 된다. 만약, 한 주당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을 알고 싶으면 주당배당금(DPS, Dividend Per Share)을 확인해보면 된다. 그리고 이 모든 지표는 보통 세전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15.4%(배당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를 공제하고 계산하도록 하자.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라면 또 얘기가 다름
두 번째는 안정적으로 배당을 줄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일반적으로 배당주 투자는 꾸준하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기업이 단순히 1, 2년 배당하고 말면 차익실현에 따른 기대 이익이 낮은 배당주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최근 3년간의 주당배당금이 상승 또는 유지되고 있는지, 배당성향이 증가하고 있는지, 앞으로(본인이 투자할 기간)의 수익창출에 걸림돌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보아야 한다. 특히, 조심해야 할 것은 갑자기 배당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경우이다. 여러 경우가 있겠지만, 기존 대주주의 부고로 자식들이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배당을 확대한 것이라면 그 주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상속세 납부 후 배당이 끊길 수도 있기 때문. 이렇게 몇 가지 중요한 사항만 확인하면, 우리나라는 배당 후진국이기 때문에 앞으로 배당주의 매력은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투자 시기도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투자 시기는 주식 보유 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그 중요도가 커진다. 배당주 투자는 일반적으로 장기 투자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투자 시기는 차익 거래를 위한 투자에 비해 그리 중요하지는 않다. 그러므로 그냥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서 분할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배당기준일이 다가올수록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자신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좋다.
배당주 투자 ① : 결산 배당, 배당기준일, 배당락, 그리고 유의할 점...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배당주 투자 ③ : 은행주(금융지주) 저평가 이유는 무엇일까? - 은행의 혁신, 금융당국의 과도한 개입, 코로나19로 인한 부실 위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