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경제뉴스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금리라는 단어를 거의 매일매일 접하고 있을 것이다.
금리는 사전적인 정의로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전적 정의가 가장 일반인들에게 와 닿는 경우는 바로 은행이자이다. 은행에 일정 부분의 돈을 입금해 두면 은행에서 자동적으로 통장에 돈을 더 넣어주는 돈을 우리는 금리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경제뉴스를 자주 보는 사람은 알겠지만, 뉴스에 나오는 금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금리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단기 채권 금리차이, 기준금리와 관련된 기사들을 보면 은행에서 주는 이자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기준금리, 일본의 기준금리, 유럽연합의 기준금리 등등 수많은 기준금리들이 중요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미국 연방 은행 FED의 기준금리라는 것 또한 경제기사를 많이 본 사람들이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FED
FED는 기축 통화중 가장 강력한 달러의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기관이다.
옛말에 'FED를 등진자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FED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비록 현재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FED에게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공개적인 압박을 서슴지 않고 함에 따라 FED의 독립성이나 영향력이 떨어진 것처럼 보이나, 여전히 FED의 매달 열리는 FOMC에 수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FED의 발언자들의 한마디 한마디에 주가, 선물 그리고 채권시장이 휘청휘청 거리는 것을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할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매일아침 전문가 증시 브리핑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면, FED 금리 추이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지구에서 가장 막강한 힘을 가진 달러의 기준금리인 FED의 금리가 시장의 판단에 따라 추세를 가진다는 사실은 어쩌면 놀랍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FED의 기준금리는 고정금리로 운영이 된다. 하지만 금리와 채권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서로의 영향력이 강한만큼 금리가 고정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조금 복잡한 이야기일수 있지만, 결국 채권의 가격은 금리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향후의 시장 상황이나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FED의 기준금리와 채권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금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채권의 가격을 통해 시장에서 나타나는 금리를 유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FED의 금리가 변화할지 아니면 그대로 남아있을지 판단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CME FedWatch
미국의 시카고 거래소에서는 채권시장의 가격 변동의 추이에 따라, FED의 기준금리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예상치를 매일매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바로 CME FedWatch이다.
즉, 시장참가자들이 FED의 금리 추이가 어떻게 변화할지 우리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애널리스트들이 금리 추이를 분석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이며, 가장 신빙성 있고 시장에서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거시경제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이거나, 금융권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꾸준히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나 데이 트레이딩을 하거나 트레이더로써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시장에서 거래하기전 반드시 체크해야만 하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도 제도권 트레이더들은 매일매일 확인한다.)
CME FedWatch 사이트에 접속하고 싶다면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들어가 볼 수 있다.
https://www.cmegroup.com/trading/interest-rates/countdown-to-fomc.html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경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ndom Walk와 Martingale (0) | 2020.03.30 |
---|---|
주식시장 요약 / 주식시장 폭락의 원인 간단 정리 - 코로나 팬데믹 공포, 유가 급락 ... 다음은 중동 불안?? (0) | 2020.03.12 |
코로나 경제위기 / 같은 위기, 다른 대응 ... 한국 소비쿠폰 vs 미국 급여세 인하 (0) | 2020.03.12 |
경제현상 /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중 더욱 치명적인 경제현상은 무엇일까? (0) | 2020.03.09 |
스튜어드십 코드 / 주주자본주의 vs 연금사회주의?? ... 국민연금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수탁자 책임원칙)란? (0) | 2020.01.22 |
댓글